경제이야기/창업·CEO
창업기업의 가치평가 기준
polplaza
2021. 2. 6. 02:09
반응형
창업기업은 정부로부터 정책융자를 받거나 투자자로부터 투자를 받을 때 가치평가를 받는다. 기업 가치가 얼마냐에 따라 융자나 투자 규모와 지분이 달라진다. 매출 실적이 거의 없는 초기 창업기업은 무엇으로 가치평가를 받을까? 대략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술성 가치평가 : 전문가들 많다. 분야별로 IT, 제품, AI 등 나름대로 기술평가기준표가 있으나 기관 별로 차이가 있다. 전문가들이라고는 하지만 진짜 전문가들은 드물다.
- 평가 기준 : △기술의 차별성 △수명주기상 위치 △파급효과 △모방 난이도 △기술의 완성도 △기술개발 조직 및 인력 △기술의 자립도 △기술의 확장성 △권리의 범위 및 안정성 △연구개발 투자 △지재권 보유 현황 △기술개발 실적
2. 시장성 가치평가 : 기준이 거의 없다. 전문가도 별로 없다. 시장규모 등.. 연구 분야다. AHP보다 전문가들 회의로 결정하는 것이 보편화
- 평가 기준 : △시장 구조 △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시장 성장성 △법, 제도적 제약/장려 요인 △경쟁 상황△경쟁 우위
3. 사업성 가치평가 : 회계사들이 주로 맡는다. 매출액이 중요한 잣대로 작용한다. 스타트업은 사업성 평가할 수 없어서 거의 못한다.
- 평가 기준 : △생산 능력 △마케팅 능력 △자본조달 능력 △수익성 △매출 성장성 △판로구축 정도
4. 경영역량 평가 :
- 평가 기준 : △기업가 정신 △신뢰도 △CEO 기술경험수준 △CEO 기술 이해도 △CEO 기술 전문성 △경영진 전문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