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

[건강상식] 폐렴 증세와 원인, 예방법

polplaza 2022. 10. 4. 21:17
반응형

폐렴(pneumonia)은 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숨을 쉬는 경로 중 호흡 세기관지 아래 쪽 폐 조직에 염증반응과 경화를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이다. 주로 70대 이상 노인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가 나와 고연령의 노인들은 각별한 주의와 예방에 신경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22년 10월 4일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뉴스를 통해 "폐렴 2020년 기준 70대 연령에서 사망 원인 4위, 80세 이상에서 3위로 집계됐다"면서 "고연령층의 사망원인 중 높은 순위에 위치해 있다"고 밝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 발열이 동반되면서 흉부 사진에서 폐렴과 유사한 소견이 있으면 폐렴이란 진단과 더불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라며 "이와 유사한 비감염성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서는 폐에서 원인이 되는 병원균을 검출하거나 합당한 병리소견을 증명하는 것이 확실한 진단법"이라고 폐렴 진단 과정을 소개했다.

(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뉴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통계청의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를 참조해 만든 그래픽 도표에 따르면, 2018년(23,280명)과 2020년(22,257명) 폐렴 사망자수는 2012년(10,314명) 대비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은 노령인구가 게속 증가하고 있는데다 2019년 이후엔 코로나19도 폐렴 사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 글에서 ▲폐렴 증상 ▲폐렴 발생 원인과 치료 ▲폐렴 예방법을 구분하여 소개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아    래 -


1. 폐렴의 발생 원인과 치료

폐렴의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다. 드물게는 화학 물질이나 구토물 같은 물질을 흡입할 경우 폐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오늘날 효과적인 항생제 덕분에 폐렴은 완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폐렴의 원인균이 항생제 내성도 점차 강해지고 있어 옛날보다 더 치료하기 어려워졌다

2. 폐렴의 증상

폐렴에 걸리면 기침, 가래, 호흡 곤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가래 색깔이 노랗거나 탁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고 발열, 오한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한다. 피로감, 두통, 설사와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경미한 폐렴의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폐렴이 진행되면 패혈증이나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모든 폐렴 환자에게 합병증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국소적인 합병증으로 흉수, 농흉, 폐농양 등이 생길 수 있다. 고위험군 환자는 합병증이 생길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3. 페렴 예방법

폐렴 발생의 약 1/3은 흡연과 관계가 있다. 금연이 폐렴의 예방에 아주 중요하다. 노인층에서는 뇌졸중 혹은 치매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아 흡인의 위험성이 높다

이런 환자들에서는 흡인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영양결핍 또한 하나의 위험인자이므로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폐렴의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은 예방접종이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호흡기 감염에 의한 입원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접종 대상은 65세 이상, 만성적인 내과질환 소유자, 의료업 종사자이다. 계란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는 접종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하고, 소변으로 인해 매년 유행 바이러스주가 바뀌므로 매년 가을마다 재접종이 필요하다

고령자 인플루엔자 백신 예방접종 필요.. 임산부는 비권장
"감염병 예방의 가장 확실한 방법은 '손씻기 생활화'"

만약 인플루엔자 유행이 시작되면 즉시 예방접종을 받고, 동시에 예방적 화학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노인들에게는 독성이 적은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또는 자나미비르(zanamivir)’가 선호된다.

그러나 급성감염이나 임신 또는 모유 수유 경우에는 백신 접종이 권장되지 않는다. 폐렴으로 입원한 모든 환자에서 퇴원 시에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시키는 것도 좋다. 폐렴구균 백신과 인플루엔자 백신은 서로 다른 곳에 동시 접종이 가능하다.

폐렴을 비롯한 호흡기 감염증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하고 저렴한 방법은 손씻기이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손을 잘 씻는 것만으로도 감기는 물론 폐렴까지 예방이 되므로 철저히 생활화하면 개인 건강에 크게 도움이 된다.

 

728x90
반응형